본문 바로가기

CAE53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8 균일한 금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냉각 설계에서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제품 상, 하측의 균일하지 않은 금형 온도는 불균일 냉각에 의한 내부 잔류 응력을 증가시켜 제품의 변형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된다. 따라서 냉각 해석 결과 금형 온도가 상당히 높은 부분은 냉각 채널을 보강하고, 오히려 금형 온도가 상당히 낮은 부분은 냉각 채널을 멀리하거나 제거하여 균일 금형 온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냉각 채널은 직경을 크게 해서 넓은 간격으로 설계하는 것보다 작은 조밀하게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며, 평면 부분보다 코너 부분의 냉각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금형 온도는 캐비티 상하에서 5℃ 이상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되어야 하지만 많은 경우에 복잡한 캐비티 형상관 금형 구조로 인.. 2022. 5. 6.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7 사출에 의하여 유입된 플라스틱 수지의 열량은 금형 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냉각수를 통한 열전달, 전도, 대류 복사 등에 의한 열전달) 그러나 대부분 열은 가장 인접한 냉각시스템에 의하여 열이 전달된다. 플라스틱 수지의 열이 냉각 채널에 의하여 금형 밖으로 이송되는 경로와 그 전달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나타내었다. 플라스틱 수지의 냉각속도는 수지의 열적 물성, 금형의 열적 물성 그리고 냉각수의 온도 및 유속 그리고 그 열적 물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냉각 해석은 BEM (boundary element method) 방법으로 예상 금형 온도를 계산한다. BEM이란 모든 요소의 경계를 통하여 열의 이동을 계산하여 일정 시간 후의 각 요소 경계의 온도 변화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2022. 5. 5.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6 Volumetric shrinkage result는 수지가 상온까지 냉각될 때 예상되는 제품 체적 수축률을 나타낸다. 체적 수축률은 보압, 냉각 과정에서의 각 부분의 온도 이력과 압력 이력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냉각 속도가 빠를수록 그리고 압력을 높고 길게 받을수록 체적 수축률은 작아진다. 체적 수축률의 +값은 수축을 의미하고 -값은 팽창을 의미한다. 얇은 부분에 과도하게 높은 압력을 가하면 성형품이 금형보다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체적 수축률은 제품의 변형, 싱크 마크, 제품 치수 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제품의 영역에 따른 체적 수축률 편차는 제품 변형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이다. 즉 변형 해석 결과 그 변형의 원인이 수축률 편차 (differential shrinkag.. 2022. 5. 4.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5 Shear rate, Bulk result는 고화층과 유동층의 계면에서 수지의 흐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단율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다. 전단율의 크기는 수지의 흐름 속도와 제품 두께에 크게 의존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동 선단 면적이 좁아서 속도가 가장 빠르고 두께도 얇은 gate에서 전단율이 가장 크다. 그리고 전단율을 두께 방향으로 나타내면 수지의 유동층과 고화층 계면에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전단율은 수지를 흐름 방향으로 배향되게 하고, 큰 전단열을 발생시켜 수지의 유동 선단 온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전단율은 온도와 더불어 수지의 점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인 수지의 허용 최대 전단율은 수지 DB에 정의되어 있는데 그 범위가 약 30000~50000 1/s이다. 최대 허용치를.. 2022.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