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E53 CAE-사출성형해서이론12 냉각 시간의 의미 : 성형품을 취출 가능한 온도까지 고화시키는 시간이다. 성형품뿐만 아니라 러너 시스템도 취출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고화되어야 한다. 물론 수지의 가소화하는 시간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성형품의 고화 시간, 러너의 고화 시간, 가소화 시간 중에서 가장 긴 시간이 바로 냉각 시간이 된다. 여기서 취출 온도(ejection temperature)란 취출 시스템에 의하여 응력을 받아도 변형되지 않고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온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PP와 ABS는 약 80~100˚C, PC는 110~120˚C 정도이다. 냉각 시간의 설정 : 성형품을 취출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고화 정도가 80% 이상이어야 하고 러너는 약 50% 정도 고화되면 취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성형품은.. 2022. 4. 19. CAE-사출성형해석이론11 보압의 의미 : 보압은 충전 공정 이후에 캐비티 내에서의 수지 냉각에 따른 수축률을 보정해 주기 위하여 적정 압력으로 적정 시간 동안 스크루를 전진시켜 수지를 캐비티 내로 공급하는 공정이다. 따라서 성형품의 수출률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보압의 크기 : 수축률이 크기를 좌우한다. 따라서 보압을 높이면 성형품 치수는 커지고 싱크 마크는 억제된다. 그 반대의 경우는 제품 치수는 작아지고 싱크 마크가 발생한다. 또한 너무 높은 보압은 형체력을 증가시키고 잔류 응력을 증가시켜 제품 변형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인 경우 (최대 사출 압력이 50~100 Mpa) 적정 보압은 최대 사출 압력의 70~80%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충전 말단부의 패킹 상태 즉 내압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압을 가하여야 한다. 보압의 .. 2022. 4. 18. CAE-사출성형해석이론10 3) 공정 조건(preocess settings) : 사출 속도에 대한 사출 압력은 U커브를 보인다. 사출 속도가 느리면, 열 발생보다 열 손실이 더 커서 유동 선단 온도가 강하하여 점도가 증가하고 고화층의 두께가 증가하여 유동 저항이 증가하여 사출 압력이 상승한다. 반대로 사출 속도가 빠르면 유동 선단 온도는 상승하여 점도는 낮아지고 고화층의 두께는 줄어들지만, 고화층과 유동층 사이의 마찰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오히려 사출 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캐비티 내에서 유동 선단이 적절한 일정 속도로 흐를 때 사출 압력은 가장 낮아진다. 수지 온도란 가소화에 의하여 배럴에 계량되는 수지의 온도를 말한다. 수지 온도를 높이면 점도는 낮아지고, 고화층의 두께는 얇아진다. 따라서 사출 압력은 낮아진다. 그러나 수지 .. 2022. 4. 17. CAE-사출 성형 해석 9 정체현상 : 성형품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은 저항이 적어 수지가 잘 흘러 가지만, 상대적으로 얇은 부분은 저항이 커서 수지가 잘 흘러가지 못한다. 따라서 두꺼운 부분은 유동 선단 속도가 충분히 빨라서 유동 선단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얇은 부분은 유동 선단 온도가 점점 더 낮아짐과 동시에 유동 선단 속도도 점점 더 느려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정체현상이라고 한다. 정체 현상이 심한 경우 성형품의 얇은 리비와 보스에서 미성형이 발생할 수 있고, 외관 두께가 국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에어 트랩 또는 에어 트랩에 의한 미성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출 압력 : 압력은 용유 수지의 유동 저항을 극복하게 하는 구동력이다. 즉 수지는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과 같이 높은 압력 영역에서 .. 2022. 4. 16. 이전 1 ···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