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E53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24 Gas 주입 위치 : Gas는 사출기 노즐엘 통하여 주입하는 방법과 러너 또는 제품에 직접 Gas inlet를 설치하여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1) 노즐을 통하여 주입하는 방법 : 수지의 충전이 끝난 직후에 동일한 노즐을 통하여 Gas를 주입하는 방법이다. 장점으로는 금형의 특별한 수정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멀티 캐비티 금형에서는 불균일 충전을 유발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고 또한 핫 러너를 통해서는 Gas 주입을 할 수 없으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들이 있다. (2) 러너 또는 제품에 직접 주입하는 경우 : 수지의 충전이 끝난 직후에 Gas inlet을 통하여 금형의 여러 위치에서 직접 주입하는 방법이다. 장점으로는 사출 성형기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Gas 장비를 사용할 수 있으며,.. 2022. 5. 31.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23 -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s : 코어와 금형이 접하는 계면에서의 열전도 계수를 정의하기 위한 옵션이다. 여기서 제품과 접하는 부분은 예외이다. - Mold surface temperature : 코어의 금형 온도를 지정한다. 일반적으로 전체 공정 조건 설정에서 사용하는 온도와 일치하므로 "Use mold surface temperature in process settings"를 선택한다. 코어는 금형과 다르게 열적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해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코어의 기계적 물성이 요구된다. 기본적으로 AMI에서는 수지 물성 DB와 금형 물성 DB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코어와 제품 인서트 물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B에 존재하지 않는 재질을 .. 2022. 5. 28.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22 Core-shift 해석 : 금형의 일부 또는 전체가 수지 압력에 의하여 변형이 되고, 이러한 변형은 제품 두께를 불균일하게 하여 제품 미 성형과 코어 파손 등을 유발한다. 따라서 성형 시의 예상되는 코어의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해결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코어의 변형은 코어의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경우 그리고 사출 압력이 높게 나타날수록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코어 변형을 최소화하려면 강성이 높은 코어 재질 사용, 고유동 수지 사용, 제품 설계 변경, 그리고 적절한 게이트 위치 설정 등의 방법이 있다. 코어 변형의 크기는 충전과정에 가장 크게 나타나고 보압 과정에 줄어들며, 수지가 고화되면 코어의 이동이 멈추어 최종 변형량이 확정된다. Core-shift 해석 사례 : 금형 코어.. 2022. 5. 27.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21 2-shot sequential overmolding : 2-shot sequential overmolding 해석은 배럴이 두 개인 회전 금형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할 때 나타내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가 위하여 수행한다. 1차 성형은 일반 성형과 동일한 조건이지만 2차 성형은 1차 성형품이 인서트로 삽입된 상태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1차 성형품의 결과가 2차 성형품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1차 성형품의 영향 : 1차 성형품은 완전히 상온까지 냉각된 상태가 아니라 사이클이 종료된 시점 이므로, 2차 성형의 인서트로 삽입될 때 상당한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2차 수지 온도는 금형과 접하는 부분과 인서트와 접하는 부분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특히 인서트와 접하는 부분은 금형 온도가 균일하여도 낮은 인.. 2022. 5. 26. 이전 1 2 3 4 5 6 7 8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