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E53

사출성형기 실린더와 금형 캐비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 비교 분석2 실험계획법에 따라 성형된 성형품의 중량과 공정 모니터링 데이터를 각 조건별로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계산된 상관계수를 표에 나타내었다. 캐비티 압력 공정 지수인 CPK, CPIK, CPIC 모두 중량과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하여 캐비티 압력이 성형품 중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출 속도와 보압에 따른 SN비 Level Injection speed Hold pressure 1 26.33 dB 26.18 dB 2 26.34 dB 26.33 dB 3 26.35 dB 26.51 dB Deviation 0.02 0.33 Rank 2 1 노즐 압력 공정 지수 중 NPIC가 중량과 상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캐비티 압력의 상관도보다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이유는 캐비티 압.. 2022. 6. 21.
사출성형기 실린더와 금형 캐비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사출 성형공정 비교 분석 일반적으로 사출성형 공정 중에는 용융 수지가 금형 캐비티를 채우는 과정을 확인할 수 없으며, 설정된 계수 값대로 공정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양품의 성형품을 생산하기 위한 성형 조건은, 시험 사출을 통한 반복적인 시행착오 방식으로 찾아내고 있으며, 특히 제품 생산 중에 불량품이 발생되면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수반된다. 최근 산업계에서는 원가절감 및 불량 개선을 위한 기술로서, 금형 내부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생산공정 이력을 감시하고 정보화하는 기술인 공정 모니터링 기술(Process Momitoring Technology)이 사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금형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출성형품의 품질을 분석하고, 이를 정량적인 지수로 나타내어 공정.. 2022. 6. 6.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26 해석 절차 : Cool(FEM) 해석을 위하여 금형 3D mesh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Mold Surface Wizard"로 생성된 금형 외곽과 제품, 러너 및 냉각 시스템의 경계를 이용하여 금형 3D mesh를 만드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금형 형상을 3D로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금형 3D mesh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경우 제품(캐비티)과 경계면 일치를 위하여 제품 모델과 금형 모델을 어셈블리로 만들어 synergy로 불러오는 것이 좋다. 또한 3D 금형 모델과 일치하는 러너와 냉각 시스템을 설계하여야 한다. 제품 인서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위의 두 가지 방법 모두 가능하지만 금형 인서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금형 3D mesh 생성을 위하여 두 번째 방법을 .. 2022. 6. 3.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25 3D mesh 생성 및 해석 공정 변경 : 제품의 형상을 고려하여 두께 방향으로는 최소 8 layer 이상의 3D mesh를 생성하는 것이 유리하며, 필요한 Bias 옵션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해석을 위한 성형공정을 "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으로 변경한다. 반드시 변경하여야 "Gas Entrance"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 Gas Entrance의 지정 및 조건 설정 : 가스를 스프루를 통하여 주입하는 경우에는 injection location 위치에, 그리고 러너 또는 제품에 직접 주입하는 경우에는 그 해당 node에 gas entrance를 설정한다. > Gas entrance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node에 entrance를 설정하면 되고, .. 2022.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