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12 코너 효과(corner effect). 변형의 원인 : 박스 형상의 제품에서 성형과정에 제품 코너가 내측으로 변형되는 현상을 통칭한다. 그러나 코너 효과의 원인은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코너의 열 집중(heat build-up)이고 다른 하나는 코너의 수축 편차(differential shrinkage)이다. 코너의 열 집중(heat build-up) : 냉각 채널에 의한 코너 안쪽의 열 방출 속도보다 코너 바깥쪽의 열 방출 속도가 빨라서 코너 두께 위치에 따라 냉각속도 차이에 의한 체적 수축률 편차가 발생한다. 즉 코너 두께 방향으로 내칙이 외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축률이 커서 코너가 내측으로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AMI 냉각(Cool) 해석을 통하여 이미.. 2022. 5. 12.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11 제품의 평판 방향으로의 불 균일 수축(differential shrinkage). 변형의 원인 : 제품 설계에서 제품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 그리고 금형 설계에서 게이트 인접한 부분과 먼 부분은 수축 편차가 발생한다. 즉 같은 압력을 받는 조건이라도 제품이 두꺼운 부분은 얇은 부분보다 냉각속도가 느려서 상대적으로 수축률이 크며, 같은 두께인 경우에도 게이트에서 먼 부분은 인접한 부분보다 압력을 적게 받아서 수축률이 크다. 이러한 지역에 따른 수축률 편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형을 불 균일 수축에 의한 변형이라 한다. 따라서 불 균일 수축에 의한 변형은 제품 설계 그리고 러너 시스템 설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특히 두께 편차가 큰 제품은 불 균일 수축 편차에 의한 변형에 취약한데, 이것은 .. 2022. 5. 11.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10 수축(shrinkage) : 따라서 잔류 응력의 발생원인은 제품의 수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의 수축은 수지의 PVT에 의한 수축과 분자 또는 첨가제의 배향에 의한 수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제품의 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 체적 수축률(volumetric shrinkage) - PVT 이력에 의하여 수축률이 다르다. 2. 냉각속도(cooling rates) - 냉각속도에 따라 PVT 곡선이 달라져서 수축률이 다르다. 3. 고분자와 파이버 배향(molecular & fiber orientation) - 배향 방향과 그 직각 방향의 수축률이 다르다. 금형 구속(mold restraint) - 수지는 금형 속에서 냉각에 의하여 수축하지만 금형 구속에 의하여 두께 방향 수축은 가.. 2022. 5. 10.
CAE-사출성형해석(Moldflow)9 Circuit reynolds number result는 냉각 채널 각 부분별 Reynolds number를 나타내는데, Reynolds number는 입수부의 냉각수 flow rate과 냉각 채널 직경에 비례하고 냉각수의 동점도에 반비례한다. Reynolds number는 냉각수 냉각 효율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며, Reynolds number가 10,000에 가까워질수록 냉각효율은 커진다. 즉 냉각수 유속이 증가하여 냉각수의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가 될수록 냉각 효율은 커진다. 그러나 더 빠른 유속에 의하여 Reynolds number가 10,000 이상으로 높아져도 냉각 효율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Reynolds number가 10,000에 가까워지도록 냉각수의 flow rate를 조절할.. 2022.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