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3 사출성형기 실린더와 금형 캐비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 비교 분석6 시편 종류 및 성형 조건을 변화시켜 측정한 12 조건의 시편 중량은 하기 표와 같으며, 시편 중량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약 0.18g의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각 조건에서 발생한 시편의 중량 편차는 매우 작아서 전체적으로 성형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출 성형 조건에 따른 시편의 중량 (단위 : g) Temperature(℃) Gate(mm) Φ=0.4 Φ=0.6 Φ=0.8 Speed(mm/s) v=400 v=800 v=400 v=800 v=400 v=800 T=300 Mean 9.2063 9.2009 9.3025 9.2918 9.3512 9.3469 STDEV 0.0032 0.0027 0.0052 0.0037 0.0069 0.0048 T=320 Mean 9.1728 9.172.. 2022. 6. 25. 사출성형기 실린더와 금형 캐비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 비교 분석5 소형 경량화되어 가는 휴대폰, 노트북과 같은 IT Mobile 기기는 제한된 크기와 형상 내에서 다기능화(multi-function)를 구현하기 위해여 제품의 두께 및 중량 감소에 대한 설계 및 제작 기술의 검토가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 기기용 박판, 저 중량 부품의 생산에 필요한 박판 사출 성형(thin-wall injection molding, TWIM or TIM)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박판 사출 성형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두께가 1mm 이하, 제품 치수의 aspect ratio(크기/두께)가 100 이상의 제품에 대한 성형으로 통칭할 수 있다. 박판 사출 성형은 두께 감소를 통한 중량 절감, 냉각 시간 단축, 원가 절감 실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두께 감소.. 2022. 6. 24. 사출성형기 실린더와 금형 캐비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 비교 분석4 기계 변수를 설정한 상태에서 금형 내부 수지 상태의 안정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노즐과 캐비티의 최고 온도를 이용하였다. 실험 조건을 설정하고 사출을 시작하면, 노즐의 온도와 캐비티의 온도가 변하게 된다. 각 샷에서 최고 온도를 측정하여 이전 샷과 측정 온도 차이가 0.5℃ 이내로 들어왔을 때부터 시편을 채취하였다. 보압 절환 위치 : 온도가 안정화된 후, 보압 절환 위치를 정하였다. 보압은 스크루를 뒤에서 밀고 있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서 제어되는데, 유압은 컨트롤 밸브에서 개방식 조절을 하고 있어 높은 압력이 걸려도 설정값을 유지할 수 있지만, 노즐과 캐비티의 압력은 폐쇄 압력이므로 일단 높아지면 낮게 조정되지 못한다. 압력 측정에서 나타나는 러너와 캐비티의 압력 패턴을 이용해서 적절한 보압 절환 .. 2022. 6. 23. 사출성형기 실린더와 금형 캐비티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 비교 분석3 제한 사출 압력 : 사출 성형기에서 사출 속도는 입력 범위가 최대 사출 속도를 기준으로 0~100%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사출 압력 또한 0~100%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에서 설정하는 사출 압력은 사출성형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하는 값을 의미한다. 사출 압력 설정이 없다면, 사출 속도에 의해서 발생되는 유동 저항으로 사출성형기 스크루 선단부에는 높은 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크루 파손 및 사출성형 장비에 악역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사출 압력의 설정을 통하여 스크루 선단부에 작용하는 압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스크루 및 사출성형 장비 보호를 위해서 성형 제어 방식을 사출 속도 제어에서 압력 제어 방식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성형.. 2022. 6. 22.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