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체력이 크게 높은 경우 : 캐비티를 채우기 위해 요구되는 형체력이 사출 성형기의 성능에 비하여 과도하게 높으면 수지를 캐비티 끝 부분까지 충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형체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는 앞에서 이미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는 성형품의 두께가 얇으면서도 성형품의 투영 면적이 큰 경우이다. 해석을 통하여 계산된 최대 형체력이 충전과정에서 이미 사출기 최대 형체력의 90%를 넘는 경우 미성형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정체현상이 심한 경우 : 두께가 얇은 리브 또는 보스 등에서 정체현상이 심한 경우 캐비티 충전이 끝나기 전에 이미 수지의 유동 선단이 이들 부분에서 더 이상 흐를 수 없는 온도 즉 천이 온도에 도달하여 굳어버리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정체현상이 심한 경우는 게이트 주변에 얇고 긴 리브와 보스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게이트 위치에서 오히려 멀리 있는 부분은 정체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체현상에 의하여 미성형이 발생하는 경우는 미성형이 예상되는 부분에서 가능한 멀어지도록 게이트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된다. 그 외에 리브 또는 보스의 두께를 증가하거나, 사출 속도를 증가시키고, 수지 온도와 금형 온도를 높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사출 압력과 형체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주로 충전 말단 부분에서 미성형이 발생하지만 정체현상에 의한 미성형은 게이트 주변에서 발생한다. 해석을 통하여 게이트 주변의 얇은 리브 또는 보스에서 수지의 유동 선단 온도가 천이온도에 도달한다면 미성형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웰드 라인(Weld line) : 웰드 라인은 두 개의 또는 그 이상의 유동이 충돌하여 형성하는 라인과 같은 자국을 말한다. 수지의 유동 선단은 고화층과 유동층을 가지고 있으며 유동층은 서로 충돌하여도 잘 융합하지만 고화층은 충돌하여 V 형태의 자국을 형성하게 된다. 게이트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 당연히 웰드 라인이 형성되고 게이트가 한 개인 경우라 하여도 제품에 홀이 존재하는 경우에 필연적으로 웰드 라인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웰드 라인 선명도는 수지의 유동 선단 충돌 당시의 고화층의 두께와 충돌 각도(접촉각)가 가장 중요하다. 고화층의 두께는 유동 선단 수지의 온도와 금형 온도에 반비례한다. 즉 유동 선단 온도와 금형 온도가 높을수록 V자 홈의 깊이가 얇아진다. 따라서 사출 속도를 증가시키고, 수지 온도와 금형 온도를 높이면 웰드 라인은 양호해진다. 접촉각은 두 유동이 만나는 각도로 정의된다. 정면충돌의 경우 접촉각은 0˚이며 이때 웰드 라인은 가장 선명하다. 접촉각이 일반적으로 135˚를 넘는 경우에 웰드 라인이 소멸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사실 수지의 종류 및 성형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웰드 라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금형 온도를 높여서 고화층을 줄이거나 없애는 방법이 있고, 접촉각이 커지도록 하는 방법과 충돌 자체를 없애는 방법이 있다. 고화층을 줄이거나 없애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금형 온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금형 온도를 높여서 웰드 라인을 완전히 제거하는 대표적 방법이 급속 가열 냉각 금형이다. 급속 가열 냉각 금형이란 충전 직전에 금형 온도가 수지의 천이온도 이상이 되도록 스팀 등을 이용해 온도를 높인 다음 수지를 충전하고 다시 금형 온도를 정상 온도로 급격히 낮추어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이다. 접촉각이 커지도록 하는 방법에는 게이트 위치를 변경하거나 제품의 두께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게이트 위치를 옮겨서 홀 주변의 유동 선단의 충돌 위치를 홀의 모서리로 이동시키면 접촉각이 커져서 웰드 라인이 크게 개선된다. 제품의 일부 두께를 변경하여 수지 흐름의 속도를 조절하여 접촉각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충전 밸런스를 고려하여 게이트 위치를 옮기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많은 경우에는 국부적인 제품 두께 변경으로 웰드 라인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충돌 자체를 없애는 방법으로는 밸브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게이트가 여러 점 있는 경우 오든 게이트를 동시에 열면 각각의 게이트로부터의 수지 유동이 충돌하여 웰드 라인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면 유동 선단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단 핫 러너 시스템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나 첫 번째 게이트로부터의 유동이 두 번째 게이트를 지나가는 순간 두 번째 게이트의 밸브가 열리면 유동 선단의 충돌은 없지만 두 번째 게이트로부터의 수지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여 수지 유동 선단 전진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면서 여러 가지 성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