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의 평판 방향으로의 불 균일 수축(differential shrinkage). 변형의 원인 : 제품 설계에서 제품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 그리고 금형 설계에서 게이트 인접한 부분과 먼 부분은 수축 편차가 발생한다. 즉 같은 압력을 받는 조건이라도 제품이 두꺼운 부분은 얇은 부분보다 냉각속도가 느려서 상대적으로 수축률이 크며, 같은 두께인 경우에도 게이트에서 먼 부분은 인접한 부분보다 압력을 적게 받아서 수축률이 크다. 이러한 지역에 따른 수축률 편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형을 불 균일 수축에 의한 변형이라 한다. 따라서 불 균일 수축에 의한 변형은 제품 설계 그리고 러너 시스템 설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특히 두께 편차가 큰 제품은 불 균일 수축 편차에 의한 변형에 취약한데, 이것은 제품 두께에 따라서 수축률 편차가 아주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 균일 수축에 의한 변형은 제품 설계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제품 설계자가 사출성형 해석을 수행하여야 하는 아주 큰 이유가 된다. 파이버가 포함되지 않은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경우 불 균일 수축에 의한 변형이 제품 변형의 주원인이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변형 해결 방법 : 불 균일 수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였을 경우 유동해석 결과로 제공되는 체적 수축률 (volumetric shrinkage) 결과를 참조하여 그 수축률 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제품 설계, 금형 설계 그리고 공정조건 설정을 개선하여야 한다. 제품의 두께 편차에 의한 수축률 편차가 변형의 주원인인 경우에는 제품 두께 편차를 줄여서 수축률 편차를 줄여야 하며, 게이트에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의 수축률 편차가 변형의 주원인인 경우에는 게이트 수와 제품 두께 증가시키고, 다단 보압을 적절히 적용하여 제품 전체의 수축률 편차를 줄여야 한다.
재료의 배향 방향과 그 직각 방향의 불 균일 배향 (differential orientation). 변형의 원인 : 수지 유동에 의하여 발생한 제품 내부의 고분자 또는 파이버의 배향에 의하여 배향 방향과 그 배향의 직각방향 사이에 수축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향 방향과 그 직각 방향의 수축률 편차에 의한 변형을 불 균일 배향에 의한 변형이라 한다. 그러나 파이버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 수지의 경우는 그 수축률 편차가 크지 않아서 유동길이가 긴 대형 제품을 제외하고는 변형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 그러나 파이버 보강된 수지의 경우는 그 수축률 편차가 상당히 커서 제품 변형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분자 또는 파이버의 배향이 제품 내에서 한 반향이 된다면 제품 길이방향과 폭 방향의 선형 수축률 차이만 발생하여 변형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게이트 위치로 인하여 한 방향 유동을 실현하기 힘들어, 제품 위치에 따라 배향 방향과 강도가 달라져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변형의 해결방법 : 고분자 또는 파이버의 배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였을 경우 유동해석 결과로 제공되는 수지의 배향 결과 (orentation at skin)와 파이버의 배향 결과(average fiber orientation)를 참고하여야 한다. 배향에 의한 변형은 배향의 방향과 그 강도에 의하여 변형의 방향과 크기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즉 변형의 방향은 제품 내에서 배향의 방향이 어떻게 형성되는가가 중요하고, 그 변형의 크기는 배향 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배향의 강도를 줄이는 방법은 수지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응력 (= 전단율 x 점도)을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 두께를 크게 하고 사출 속도를 낮추고 수지 온도와 금형 온도를 높여 전단 응력을 낮게 하면 배향 편차가 감소하여 변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배향의 방향을 바꾸는 방법은 게이트를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따라서 게이트의 위치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배향의 방향에 따른 변형을 검토하여야 하며, 가능하다면 한 방향 배향이 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댓글